교육 소개
추진과제 및 목표
사업소개
사업명 | 주요내용 | 기간 |
---|---|---|
학교로 찾아가는 학부모 교육 ‘미래동행 학부모학교’ | 학교가 요구하는 주제 중심 학부모 교육 운영 | 5~11월 |
- 자녀의 인성 및 공동체 의식 함양 - 자녀와의 의사소통 및 대화기술 방법 - 아동 문제행동 관련 대응 |
||
학교와 긍정적 관계맺기 | 학부모가 학교 교육활동에 참여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·역할·방향 | 3~12월 |
- 학부모-교직원 간 효과적인 의사소통·디지털 안전 등 교육 | ||
경기학부모지원센터 학부모 맞춤형 상담 |
경기학부모지원센터의 상담 기능 강화를 통해 올바른 자녀 양육 및 자녀의 학교생활 적응력 향상 지원 | 3~12월 |
- 대면, 전화, 온라인 등 맞춤형 상담 | ||
학생주도-부모지원형 평생학습 | 학부모와 학생이 멘토-멘티로 함께 배우고 실천하는 학습활동 | 3~12월 |
- 미래클러닝, 미래클래스 | ||
성장단계 별 자녀이해 교육 | 자녀 발달단계에 따른 바람직한 부모 역할 및 자녀의 학교생활 적응을 위한 정보 제공 | 2~12월 |
- 성장단계 별 부모 역할·청소년기 특성 이해 - 신입생 학부모 집중교육 등 |
||
자녀 진로·진학 교육 | 학부모의 자녀 진로 및 학습지도 역량 강화 | 2~12월 |
- 자기주도학습·문해력·독서법·진로 탐색 등 | ||
특수교육대상 학생 부모 교육 | 장애 학생의 건강한 성장과 자립 지원을 위한 부모교육 | 2~12월 |
- 장애학생 발달이해·부모 역할 이해·수요반응형 맞춤교육 등 | ||
글로벌가정 부모 교육 | 다문화가정의 한국 사회·문화 이해도 제고 및 순조로운 적응 지원 | 2~12월 |
- 학교생활 길라잡이·학교폭력 예방 및 대응 - 부모 역할·한국문화 이해 교육 등 |
||
학교 밖 청소년 부모 교육 | 학교 밖 청소년 부모의 자녀교육 역량강화 교육 | 2~12월 |
- 학교 밖 청소년 자녀의 사회성 함양 - 진로 탐색·취업 지원 제도 활용 방법 등 |
||
학부모 평생학습공동체 ‘참여하고 공부하는 부모모임’ |
자발적 학습활동을 통해 공통 관심사를 가진 학부모가 모여 함께 배우고 나누는 자생적 학부모 평생학습 공동체 구축 | 3~12월 |
- 교육공동체를 지향하는 학부모 동아리 사업 공모 선정(20팀) - 온/오프라인 학습 활동 지원 |
||
자녀교육 사례나눔 ‘학부모책’ | 선배 학부모 및 전문가의 자녀교육 관련 경험 공유 | 2~12월 |
- 위촉 및 공모로 학부모책 활동가 선정 - 학부모가 한 권의 책이 되어 자녀교육 경험 공유 및 지혜 나눔을 통해 자녀와의 긍정적인 관계 형성을 지원하는 대화 프로그램 |
||
평생교육 활성화를 위한 공감 교류 협력 프로그램 | 평생교육 프로그램 운영을 위한 협업·시설물 사용 협조·홍보 협조·상호 협력 체계 구축 | 3~12월 |
- 학부모 교육 등 평생교육 활성화를 위한 기관 간 업무협약 체결 노력 - 업무협약 체결 기관(지역) 내 학생 및 학부모 대상 공감교류 협력 프로그램 운영 |